2025년 최저시급 정보!!!

INTRO
안녕하세요~ 민짱스토리입니다.
2025년도 어느덧 1월 중순이 다 되었는데요. 현재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은 얼마인지? 그리고 연도별 최저시급 추이는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써보려고 합니다. 또한 휴일 근로수당(주휴수당)은 어떻게 되는건지 또한 다루어 볼 테니 한번 같이 알아보도록 하죠!

최저시급이란?
최저시급은 근로자의 최소임금을 매년 정하기 위해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불평등을 해소 및 기본 생활을 보장하기에 매년 정부가 발표하고 기업은 최저임금제를 기준으로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2025년 최저시급
2024년 그러니까 작년 최저시급은 9,620원이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410원 오른 4.3%의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제가 대학교 아르바이트 할 때만 해도 4,000 ~ 5,000원 정도였던 거 같은데 이제는 10,000원을 넘게 되었네요.

연도별 최저시급 금액 및 인상률 추이


왼쪽 사진은 제가 정리해놓은 표고 오른쪽은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에 있는 그래프를 가져온 것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2017년도에서 2018년도로 넘어가는 시기에 16.4% 인상으로 엄청 큰 폭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2019년에도 10.9%로 두 번째로 높게 올랐으며 그 이후는 1~5% 이내의 인상률을 보입니다.(2024년 금액을 2023년과 동일하기 잘못기재했습니다 ㅠ 2024년은 9,860원입니다)

휴일 근로수당(주휴수당)
주휴수당은쉬는 날에도 돈을 받을 수 있는 날로 유급휴가를 뜻하는데요 일주일에 약정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에 한해 유급 휴일을 주는 제도입니다. 유급 휴일에 쉬어도 1일 치 일당을 받을 수 있는 날인데요. 1주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에 해당합니다.
주휴수당 관련 계산은 네이버에 있으니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소 : 주휴수당 계산기 : 네이버 검색
주휴수당 계산기 : 네이버 검색
'주휴수당 계산기'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마치며
이상으로 2025년 최저시급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처음으로 10,000원을 넘으니 기분이 이상합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제가 아르바이트를 할 때는 4~5000원 했었는데 어느덧 두 배나 올랐네요. 제월급도 10년후에 두배 올랐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이만 마치겠습니다.
'민짱의 일상.생활정보 > € 일상.생활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급여 인상 | 기간 확대(한부모, 다자녀 정보 등) (0) | 2025.01.20 |
---|---|
[앱테크]캐시워크 돈 버는 방법 | 꿀팁 모음!(월 20000원 이상/찐후기) (0) | 2025.01.14 |
[정보] 설 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기차, 항공 등)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