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짱의 일상.생활정보/€ 이모저모

경기도 시별 인구 순위(시군별 인구 | 인구 변화 추세)

by 민짱스토리 2025. 2. 13.
INTRO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현재 총인구 14,162,083명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군별로 인구 증가율과 감소율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일부 지역은 인구 유입이 활발한 반면 다른 지역은 인구 감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경기도 시군별 인구수
경기도 시군별 인구순위

경기도 시군별 인구 순위 TOP 10(2018년 대비 증가율)

- 1위 수원시 1,231,898명 +2.6%
- 2위 용인시 1,106,773명 +6.9%
- 3위 고양시 1,084,020명 +3.8%
- 4위 화성시 1,019,880명 +34.5%
- 5위 성남시 930,079명 -2.5%
- 6위 부천시 799,222명 -5.3%
- 7위 남양주시 741,735명 +8.8%
- 8위 안산시 674,819명 +2.2%
- 9위 평택시 631,045명 +27.3%
- 10위 안양시 563,383명 -2.3%
화성시는 2018년 대비 34.5% 증가하며 가장 빠른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평택시 또한 27.3%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부천시(-5.3%)와 성남시(-2.5%)는 인구 감소가 두드러지며 수도권 내에서도 인구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TOP 10을 제외한 시군별 인구 순위

11위 시흥시 558,625
12위 김포시 512,461
13위 파주시 526,774
14위 의정부시 468,275
15위 양주시 298,888
16위 하남시 331,864
17위 광주시 412,518
18위 광명시 281,082
19위 군포시 261,896
20위 오산시 252,675
21위 이천시 232,875
22위 안성시 208,855
23위 구리시 188,403
24위 포천시 157,780
25위 의왕시 155,586
26위 동두천시 91,096
27위 과천시 85,773
28위 양평군 128,457
29위 여주시 119,322
30위 가평군 63,813
31위 연천군 43,553

경기도 인구 변화 추세 분석

경기도 전체 인구는 2018년 13,077,153명에서 2024년 14,162,083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인구 유입이 활발한 지역과 감소하는 지역이 나뉘고 있습니다.

1)  인구 증가 지역 (2018년 대비 증가율 TOP 5)

- 화성시 (+34.5%) → 수도권 2기 신도시 개발로 급성장
- 양주시 (+37.8%) → GTX-C 노선 개통 기대감 상승
- 평택시 (+27.3%) → 삼성 반도체, 미군기지 이전 영향
- 하남시 (+30.5%) → 미사, 위례, 감일 신도시 개발
- 김포시 (+21.1%) → 서울 접근성 개선, 교통 인프라 확충

*  특징: 신도시 개발, 산업단지 조성, GTX 등의 교통 호재가 주요 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화성, 평택, 김포, 하남 등은 대규모 개발 사업과 인프라 확충 덕분에 빠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 인구 감소 지역 (2018년 대비 감소율 TOP 5)

-  광명시 (-14.0%) → 재개발 이주로 인한 인구 감소
-  구리시 (-7.4%) → 상대적으로 낮은 신규 개발
-  부천시 (-5.3%) → 주거 지역 감소, 서울로 인구 유출
-  성남시 (-2.5%) → 판교 개발 효과 이후 정체기
-  안양시 (-2.3%) → 신도시 유입에 따른 인구 이동

* 특징: 기존 도심 지역은 신도시 및 외곽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며 자연스럽게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광명시(-14.0%)는 재개발 이주로 인해 가장 큰 인구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경기도 인구 변화의 핵심 포인트

- 수원, 고양, 용인은 여전히 인구 최상위권 유지
-  화성, 평택, 하남, 김포 등 신도시 개발 지역은 빠른 성장세
-  광명, 부천, 성남 등 기존 도심 지역은 인구 감소
-  GTX, 신도시 개발 등 교통 및 인프라가 인구 변화의 핵심 요인

*  경기도는 전체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별로 인구 유입과 유출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습니다. 신도시 개발과 산업 발전이 있는 지역은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재개발이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인구가 빠져나가는 지역도 존재합니다.

마치며

앞으로도 GTX 개통과 도시 개발이 인구 이동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 발전을 응원합니다.

반응형